2025. 4. 3. 18:20ㆍ인터넷 자료실
🔐 포트 포워딩이란? 정말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
요즘은 집이나 사무실에서 CCTV를 설치하거나, NAS(파일 서버), 게임 서버를 직접 운영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특히 재택근무 중에 외부에서도 NAS를 통해 파일에 접근하거나, 자녀들이 친구와 함께 게임 서버를 운영하는 등의 사례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기기들은 내부 네트워크에 연결돼 있어 외부에서는 바로 접근이 어렵지요.
이때 필요한 것이 바로 포트 포워딩입니다. 쉽게 말해, 외부에서 내부 기기까지 연결할 수 있도록 공유기에서 길(포트)을 열어주는 작업이에요.

🧰 포트 포워딩을 하기 위한 준비물
아래 준비물만 갖춰두시면 누구나 설정하실 수 있습니다.
- 🔑 공유기 관리자 접속 주소 (보통 192.168.0.1 또는 192.168.1.1)
- 💻 접속하려는 내부 기기의 IP 주소 (예: NAS나 CCTV의 주소)
- 🚪 열어야 할 포트 번호 (서비스에 따라 다름: CCTV는 보통 554, 웹 서버는 80 등)
⚙️ 포트 포워딩 설정 순서 (공유기 브랜드와 무관하게 공통된 흐름입니다)
1.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합니다
브라우저 주소창에 192.168.0.1 또는 192.168.1.1 입력 후,
공유기 로그인 화면이 나오면 ID/PW를 입력합니다.
※ 대부분 기본값은 admin / admin이나, 공유기 뒷면 스티커에서 확인 가능해요.
2. 내부 기기의 IP 주소 확인 및 고정
"반드시 고정 IP로 설정해두셔야 합니다. DHCP를 통해 자동 할당된 IP는 재부팅 시 변경될 수 있으므로, 공유기 설정에서 MAC 주소 기반으로 IP를 고정하거나, 기기에서 수동으로 IP를 지정해 주시는 것이 안정적인 접근을 유지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3. 포트 포워딩 메뉴로 이동
공유기마다 메뉴 명칭이 조금씩 다르지만, 보통 아래와 같은 이름입니다:
- '포트포워딩'
- '가상 서버'
- 'NAT 설정'
- '포트 매핑'
4. 포트 포워딩 규칙 추가
아래 예시처럼 입력해 주세요.
- 이름: CCTV
- 내부 IP: 192.168.0.100
- 내부 포트: 554
- 외부 포트: 554
- 프로토콜: TCP 또는 TCP/UDP
모든 값을 입력 후 저장(적용) 버튼을 누르면 설정이 완료됩니다. 일부 공유기는 변경 사항을 적용한 후 자동으로 재부팅되거나, 수동으로 재부팅해야 적용되는 경우도 있으니 확인해 주세요.
5. 외부 접속 테스트
스마트폰에서 와이파이를 끄고 데이터 상태에서 아래처럼 접속해봅니다.
예: http://123.123.123.123:554
만약 접속이 잘 되면 성공입니다!
대 표: 1800-9643.
사무실: 070-7525-8000
휴대폰: 010-3333-5009.
'인터넷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쉬 와이파이 설치법 (0) | 2025.04.06 |
---|---|
무선 와이파이 - ipTIME Ring-AX3000 기능 (1) | 2025.04.06 |
통신사별 공유기 포트포워딩 (0) | 2025.04.04 |
핑테스트로 컴퓨터 문제점 찾는 방법! (1) | 2025.03.25 |